커뮤니티
[ 정보 / 건설장비 ] "수백억 물어야 할 판"…기아, 예상치 못한 '청구서'에 당황
기아의 광명오토랜드(경기 광명시 소하동 공장)가 52년 전 지정된 그린벨트 규제에 묶여 전기차(EV) 생산라인 전환 시
수백억원의 부담금을 물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장이 들어선 이듬해인 1971년 지정된 황당한 규제가 반세기를 넘은 현시점에 미래차 투자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광명시와 업계에 따르면 오는 6월부터 광명오토랜드 2공장을 전기차 라인으로 전환하는 기아는 ‘개발제한구역 보전부담금’을 별도로 내야 한다.
소하리 공장이 1971년 도시계획법 개정 전에 착공됐지만 예고 없이 이듬해 그린벨트에 포함된 뒤 현재까지도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어서다.
기아는 6월부터 2공장을 ‘셧다운’하고 4000억원을 투입해 전기차 생산 전용 공장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오토랜드 1공장과 2공장의 생산량은 각각 연간 15만 대로 1공장에선 EV9 등 전기차를 이미 생산 중이다.
2공장에선 내년 6월부터 EV3, EV4 등 신형 전기차를 내놓을 예정이다.
예상치 못한 ‘청구서’에 기아가 말을 아끼는 가운데 광명시는 “보조금을 주진 못할망정 미래산업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가 말이 되느냐”고 반발하고 있다.
광명시에 따르면 기아는 공장 증축으로 지금까지 220억원가량의 부담금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전기차 라인 전환에 따른 부담금도 1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경기 광명시 기아 광명오토랜드는 서울 서남부 시민과 광명시민에게 ‘소하리 기아공장’이란 이름으로 더 익숙하다.
기아의 전신인 옛 기아산업이 조성한 국내 자동차공업의 ‘요람’으로 49만8908㎡ 부지에 구축된 1·2공장에서 연간 30만 대를 생산하는 대공장이다.
공장은 1970년부터 조성됐지만 착공 이듬해 느닷없이 그린벨트로 묶였다.
이 때문에 기아산업이 첫 사륜차 ‘브리사’를 생산한 1973년부터 시작된 ‘개발제한구역 내 자동차 공장’이라는 황당한 상황이 52년째 이어져 오고 있다.
소하동 일대가 그린벨트로 지정된 이유에 대해 광명시 관계자는 12일 “1970년대 당시의 행정 미비가 가장 크게 작용했다”며
“광명의 구름산 도덕산 성채산 일대 녹지 축선을 따라 지도를 놓고 그린벨트를 그었고, 그 와중에 공장 착공 사실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도 “지금까지 왜 이 일대가 그린벨트인지 제대로 설명해줄 수 있는 공무원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규제는 52년간 변함없이 유지됐다.
광명오토랜드는 기아산업이 1990년 기아차로 전환되고, 1998년 현대차그룹에 합병된 이후에도 핵심 생산거점 역할을 담당했다.
카니발, 프라이드, 레이, 스팅어 등 기아를 대표하는 차종이 이곳에서 생산되고 있다.
기아는 차종이 바뀔 때마다 공장 라인을 계속 바꿨다.
기아산업의 공장 준공 당시 건축 연면적은 5만2800㎡ 규모였으나 52년이 지난 ‘기아 광명오토랜드’의 건축 연면적은 26만4300㎡로 확대됐다.
최근에는 수소차, 전기차 충전 설비도 들어섰다. 그동안 수차례 공장라인 변경을 거치고, 투자할 때마다 기아는 자체 공장 부지로
허가받은 땅임에도 수백억원의 그린벨트 보전부담금을 물어야 했다.
부담금보다 더 큰 문제는 까다로운 인허가 절차다.
그린벨트 지역이라는 이유로 투자를 결정할 때마다 매번 계획을 세우고, 설득하고, 허가받아야 한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51219641
comments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