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2020년 이후 빌린 제2금융권 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연체율이 상승할 수 있다는 한국은행의 경고가 나왔다.
저금리 시절, 정부의 전폭적인 금융 지원과 맞물려 이뤄졌던 이른바 '코로나 대출'이 향후 연체율 상승의 주범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은이 21일 발표한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는 이 같은 내용의 '최근 가계대출 연체율 상황 점검' 참고 자료가 실렸다.
한은에 따르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모든 금융권에서 상승하고 있지만, 아직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이전 장기평균(2009~2019년)에도 미치지 못한다.
비교적 높은 연체율을 보이고 있는 비은행금융기관을 봐도 3월 말 기준 5.6%(저축은행), 2.8%(여신전문금융회사)로 장기평균 수준(9.3%, 3.2%)을 밑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15.8%, 6.3%)에 비해서는 크게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안심은 이르다. 한은은 최근 늘어난 대출연체의 경우 대부분 취약차주로부터 발생했다고 파악했다.
취약차주란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소득 하위 30% 저소득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차주를 뜻한다.
이처럼 대다수 대출연체가 취약차주에 의해 발생했기에 연체채권의 상당 부분이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연체)으로 이어져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과 자본비율에 나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대출 연체율은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2020년 이후 취급된 대출의 경우 대출금리 상승과 정책지원 축소 등으로 인해 그간 이연돼 온 연체가 일부 늘어나는 것이 불가피해 보인다"며 "이는 한동안 가계대출 연체율을 높이는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은이 대출 취급 시기별로 연체율 변화를 살핀 결과, 2020년 이후 취급된 가계대출은 낮은 금리 수준과 코로나19 정책 지원 등에 힘입어 연체율 오름세가 2013~2019년 취급된 가계대출에 비해 완만한 모습을 보여왔다. 이들 코로나 대출은 아직 정점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은은 "특히 2020년 이후 취급된 대출의 연체율 상승 압력은 비은행금융기관에서 크게 나타날 것"이라면서 "취약차주가 2020년 이후에 받은 가계대출의 연체율이 최근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고 취약차주의 가계대출은 은행보다는 비은행금융기관에 보다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또 "비은행금융기관이 2020년 이후 취급한 가계대출 연체율은 그 이전에 취급한 가계대출 연체율에 비해 아직 상당히 눌려있어 향후 상승 여지가 클 것"이라고 추정했다.
다만 연체율과 무관하게 금융기관 복원력은 양호한 수준을 이어갈 전망이라고 한은은 덧붙였다.
한은은 "연체가 예상보다 빠르게 늘어날 수 있으므로 금융기관의 자본 확충과 함께 신규 연체채권 추이에 대한 정부·감독당국의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며 "취약차주들이 필요에 따라 채무조정이나 개인회생·파산제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금리 상승 시 부실채권이 일시에 늘어나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고정금리대출 비중 확대를 유도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comments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